연금 저축
(1) 3층 보장 체계
연금 준비는 어떻게 해? 3층 보장 체계!
(1) 개인 연금 (자기 보장)
- 여유로운 생활 보장 위해, 개인이 자발적으로!
- 많은 세제 혜택이 있음!
(2) 퇴직 연금 (기업 보장)
- (국민연금과는 별도로)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위해, 노사 합의에 의해 자율적으로 가입
(3) 국민 연금 (국가 보장)
- 국가가 만든 사회 보험제도. Must!
(2) 절차
- Step 1) 연금 계좌 개설
- Step 2) 입금
- 한번에 600만원 or 매달 50만원
- 1년에 (up to) 600만원이 들어가 있는 것이 중요한 것이지, 언제/얼마나 나눠서는 중요 X
- Step 3) 펀드 구매
- Step 4) 매년 세액 공제
- Step 5) (55세 이후에) 연금 신청
(3) 연금 저축
어디서 가입할 수 있는지?
$\rightarrow$ 금융사 3곳 모두 가능!
- 은행: 연금저축 신탁
- 보험사: 연금저축 보험
- 증권사: 연금저축 펀드
아무나 가입 가능. 신생아도 가능
(4) 헤택 1: 세액 공재
연소득 | 5500만원 이하 | 5500만원 초과 |
---|---|---|
공제율 | 16.5% | 13.2% |
최대 공제 금액 | 600만 x 16.5% = 99만 | 600만 x 13.2% = 79.2만 |
소득 공제 vs. 세액 공제
- 세액 공제: 특정 구간 내에 있으면 다 똑같이 적용받음
- direct하게 깎아주는 세액 공제가 더 좋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한도가 더 짜다!
- 소득이 작은 사람일 수록, 세액 공제가 (대체로) 더 유리함
(5) 세금
투자활동하기 때문에, 이자가 발생!
$\rightarrow$ 이자소득세 15.4%는? 바로내지 않음!
나중에, 이자 또한 연금으로 수령하기 때문에, 이자소득세 대신 연금소득세를 냄
- 55세 이상 ~70세 미만: 5.5%
- 70세 이상 ~80세 미만: 4.4%
- 80세 이상: 3.3%
(오해 금지!) 매년 15.4% 낼 것을, 나중에 한번에 3.3%만 내는 것이니, 매우 좋군! (X)
- 이자 소득세: “이자” 부분에 대해서만 15.4% 세금
- 연금 소득세: “이자 + 원금” 전체에 대해서 3.3% 세금
- 뭐가 더 작을지는 다를 수 있음
(6) 수령
나이가 되어서, 연금을 타서 쓸 때…
- (1) 정률 / 정액을 선택해서 받을 수 있음
- (2) 최소 10년 이상으로 수령해야함.
(7) 어느 금융 기관?
어디서 하든, 세제 혜택은 동일함!
은행/증권/보험의 차이점?
-
들어부은 돈이 어떻게 굴러가는지에 의해 차이가 남
- a) 연금저축 보험 (by 보험사): 공시로 돌아갈 것
- b) 연금저축 신탁 (by 은행): 예금 금리
- c) 연금저축 펀드 (by 증권사): 펀드/ETF로 직접 골라
c)는 a),b)에 비해 고객 별로 수익이 천차만별!
과거 (금리 높던 시기에는) a), b)위주로 돌아갔으나, 요즈음은 c)로도 준비하는 경우도 많음!
a),b)에서 c)로 이전할 수 있는 연금 이전제도도 있음!
(8) 해지
누적 금액의 16.5%을 날아가게 됨.
$\rightarrow$ 절대 깨지 말아야!
(9) 600만 vs. 1800만원
최대 600만원까지만 혜택을 적용해준다고 했음
( 600x 16.5% = 99만원의 세액 공제 )
돈이 좀 남는다고 싶으면, (1800만원 한도 내에서) 1200만원까지 더 납입해도 문제 없음
$\rightarrow$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출금(해지)해도 16.5%의 세금을 내지 않음
(10) 연금저축 펀드
어떤 펀드를 고를지?
$\rightarrow$ 대부분의 펀드들이 다 오픈되어 있음
뭘 살지 잘 모르겠으면, 일단 MMF에 넣어놔라!
-
MMF: (사실상) 현금으로 구성된 펀드
$\rightarrow$ 은행 예금 금리정도로는 나오니까, 일단 넣어놓고 공부한 뒤 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