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 기초 상식
시가총액 = 발행 주식 수 x 주가
PBR: 주가순자산비율 (Price to Book Ratio)
- PBR = 시가총액 / 자본
-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얼마나 저/고평가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PER: 주가수익비율 (Price to Earnings Ratio)
- PER = 시가총액 / 순이익 = 주가 / 주당순이익
- 주가가 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저/고평가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ROE: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 ROE = 순이익 / 자본
- 자본으로 순이익 얼마나 창출하는지 측정하는 지표.
ROA: 총자산이익률 (Return on Assets)
- ROA = 순이익 / (자본+부채)
- 자산(=자본+부채)으로 순이익 얼마나 창출하는지 측정하는 지표.
EPS: 주당순이익 (Earnings per Share)
- EPS = 순이익 / 주식 수
- 순이익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
재무제표
- (1) 재무 상태표 (대차대조표, Balance sheet)
- 핵심 항목: 자산, 부채, 순자산(=자본)
- (2) 손익 계산서 (Income statement)
- 핵심 항목: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 구체적 과정
- 매출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 관리비 (판관비) = “영업이익”
- 영업이익 - 영업 외 수익/비용 = “법인세 차감 전 손익”
- 법인세 차감 전 손익 - 법인세 = “당기순이익”
- (3) 자본 변동표
- (4) 현금 흐름표
- 핵심 항목: 영업활동 현금흐름, 투자활동 현금흐름, 재무활동 현금흐름.
- 주석
펀드
- 투자자 <-> 판매회사 <-> 자산운용사
- 판매회사: 증권회사, 은행
- 자산운용사: 펀드매니저, 자산관리사
- 뮤츄얼 펀드:
- 펀드를 굴리기 위핸 가상의 회사 ( = 증권투자회사 )
- 투자자는 해당 회사의 ‘주주’가 되기 때문에, 수익을 “배당”을 통해서 받음
옵션 vs. 선물
- 옵션: can vs. 선물: must
- 풋: 매도 vs. 콜: 매수
- 콜옵션 매도자, 콜옵션 매수자, 풋옵션 매도자, 풋옵션 매수자
채권의 종류: 발행의 주체에 따라 4종류로 구분
- a) 국채: by 국가
- b) 지방채: by 지자체
- c) 특수채: by 특별기관 (e.g., 한전, 수자원공사)
- d) 회사채: by 회사
- a) ~ c) : 국공채
채권 vs. 금리
-
결론: 채권의 가격과 금리는 반비례 관계
-
(a) 은행 예/적금 vs. (b)회사채
-
금리 $\uparrow$ : (a) 선호 $\rightarrow$ (b) 매력 떨어짐 $\rightarrow$ (b)의 가격 떨어짐 (수익률이 높아짐)
-
금리 $\downarrow$ : (a) 비선호 $\rightarrow$ (b) 매력 높아짐 $\rightarrow$ (b)의 가격 높아짐 (수익률이 떨어짐)
-
Note: 채권은 발행 당시에 이미 액면금액/액면이자율 fix
(변하는 것은 채권가격과 수익률 뿐이다!)
-
채권을 거래하는 시장
- (1) 발행 시장: 회사가 처음으로 발행할 때
- (2) 유통 시장: 개인들 간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
자산운용사
- 펀드(fund)를 운용하는 회사
- Examples
- 삼성자산운용 (Kodex)
- 한화자산운용 (아리랑)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ETF도 펀드이다!
- ETF = Exchange Traded Fund
-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펀드”
- 증권사와 ETF는 무관하다!
- 증권사: only “중개”
커버드 콜(Covered Call)
- (1) 주식 보유 + (2) 콜옵션 매도를 결합한 옵션 전략
-
기본 구성: (1) 특정 주식을 보유한 상태에서, (2) 해당 주식에 대한 콜옵션을 매도합니다.
- 수익 구조
- a) 옵션 프리미엄 수익: 매도한 콜옵션의 프리미엄을 즉시 확보
- b) 주가 상승 한계: 주가가 행사가를 초과 시, 초과분은 수익으로 가져가지 못함
- 리스크 완화: 주가 하락 시 손실 일부를 옵션 프리미엄으로 상쇄합니다.
- 목적: 일정 범위 내의 주가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얻기 위해 사용됩니다.
커버드 콜 예시
- (가정) 투자자가 A 주식을 100주 보유 중 + 주당 $50에 매수
- 투자자는 행사가 $55의 콜옵션을 주당 $2에 매도합니다.
- 프리미엄 수익: $2 × 100주 = $200 확보.
-
주가 시나리오:
-
$55 이하로 유지: 옵션 미행사, $200 프리미엄이 순수익.
-
$55 초과 (예: $60): 주식은 $55에 매도되며, $5 × 100주 = $500의 자본 이익 + $200 프리미엄 수익.
-
$50 이하로 하락 (예: $45): 주식 손실 $5 × 100주 = $500. 그러나 $200 프리미엄으로 일부 손실 상쇄.
-
기초 자산
( e.g., 주식, 채권, 금, 부단 )
- 기초 자산을 대상으로 다양한 금융상품을 생성함
파생 상품
( e.g., 선물, 옵션, 스왑 )
- 다양한 기초 자산을 기반으로 만들어낸 상품
- leverage 가능! (계약이므로)
- 위험을 헷지하기 위해서 활용도 가능!
- 쉽지 않음! ( 만기가 존재. time attack )
- (기초자산 + 파생 상품) 묶어서 거래하는 형태로도 존재!
- ex) 옵션: 가만히 들고 있으면 그 자체로 가치 $\downarrow$ (시간 가치)
스왑 (SWAP)
- 서로 다른 현금 흐름을 거래 당사자끼리 일정기간동안 교환하는 것
네 마녀의 날 (Quadruple Witching Day)
-
주식시장이나 금융시장에서 파생상품의 만기일이 겹치는 날
-
발생 시점: 매 분기의 셋째 주 금요일(3월, 6월, 9월, 12월).
-
중복 만기 상품
- (1) 주식 옵션
- (2) 주가지수 옵션
- (3) 주식 선물
- (4) 주가지수 선물
$\rightarrow$ 만기일을 맞아 거래량과 변동성이 급격히 증가!!
( 거래 기회와 리스크가 모두 존재하는 날 )
-
Wag the dog
- 개의 꼬리가 몸통을 흔든다
- 주식 시장에서 선물 시장 (꼬리)이 현물 시장 (몸통)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
Zerosum vs. Non-zerosum
- 기초자산: Non-zerosum
- 파생상품: Zero-s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