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Fastcampus 강의, 강민철의 인공지능 시대 필수 컴퓨터 공학 지식)
3. 네트워크 계층
Contents
- IP
- 허브와 CSMA/CD
- 스위치와 VLAN
(1) IP
a) 네트워크 계층
(지난 시간까지)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rightarrow$ “LAN에 국한”된 통신이었다!
Q) LAN을 넘어서기 위한 계층은? (i.e., 네트워크 “간” 통신이 가능한 계층은?)
$\rightarrow$ 네트워크 계층
- 라우팅: 다른 네트워크끼리 통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가 어떤 경로로 전달될지 결정하는 과정
b) IP 주소 (& MAC 주소)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IP 주소가 필요하다.
$\rightarrow$ Q) MAC 주소가 있지 않나?
MAC 주소만을 이용할 경우?
- (1) 도달 경로 파악 어려움 (라우팅 어려움)
- (2) 세상에 기기는 매우 많음 …. 임의의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의 MAC주소를 기억하기 어려움!
$\rightarrow$ IP 주소 (선) + MAC 주소 (후) 함께 사용!
- (택배 비유) IP 주소 = 수신 주소, MAC 주소 = 수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