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Fastcampus 강의, 강민철의 인공지능 시대 필수 컴퓨터 공학 지식)

3. 네트워크 계층 (part 2)

Contents

  1. IP 주소
  2. IP 주소의 분류
  3. 라우팅


(4) IP 주소

a) MAC 주소 vs. IP 주소

IP 주소의 구성: (1) 네트워크 주소 + (2) 호스트 주소

  • 비트 수 고정 X

figure2


MAC 주소의 구성: (1) 제조사 번호 + (2) 일련 번호

  • 비트 수 고정 O ( (1) = 24 비트 + (2) = 24 비트 )

figure2


b) 클래스풀 (Classful) 주소 체계

클래스풀 주소는 IP 주소를 고정된 크기의 네트워크/호스트 비트로 구분하던 방식

클래스 시작 IP 범위 서브넷 마스크 호스트 수
A 0.0.0.0 ~ 127.255.255.255 255.0.0.0 (8비트 네트워크) 약 1,670만 개
B 128.0.0.0 ~ 191.255.255.255 255.255.0.0 (16비트 네트워크) 약 6만 5천 개
C 192.0.0.0 ~ 223.255.255.255 255.255.255.0 (24비트 네트워크) 254개

figure2


예시) A 클래스

figure2


c) 고정된 주소

최소 & 최대값은 각각 특별한 의미를 가짐! 부여 불가!

figure2

$\rightarrow$ 즉, 이 중 호스트 ID가 전부 0이거나 전부 1인 경우는 특별한 의미로 쓰여서 일반 호스트에게 할당할 수 없음

호스트 ID가 전부 0 → 네트워크 주소

  • 해당 네트워크 자체를 식별하는 데 사용
  • 예: 192.168.1.0 (클래스 C)

호스트 ID가 전부 1 → 브로드캐스트 주소

  • 그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호스트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데 사용
  • 예: 192.168.1.255 (클래스 C)


요약

구분 의미 사용 가능 여부
최소값 (all 0) 네트워크 주소
최대값 (all 1) 브로드캐스트 주소
나머지 주소 실제 호스트에 부여 가능 (1~254 등)


d) 클래스리스 (Classless) 주소 체계

  • 클래스풀 주소 체계보다 더 정교히 네트워크를 나누는 방법
  • 오늘날 주로 사용하는 방식
  • 네트워크와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해 서브넷 마스크 이용

figure2


e)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데 사용하는 32비트 숫자

  • IP 주소는 32비트 (4바이트)
  • 서브넷 마스크도 32비트
  • 둘은 비트 단위로 AND 연산되어, IP가 속한 네트워크 주소를 구함

Example)

  • IP 주소: 192.168.1.10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이진: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해석

    • 앞의 24비트는 네트워크 주소 (192.168.1)

    • 뒤의 8비트는 호스트 주소 (.10)


자주 사용되는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 마스크 CIDR 표기 호스트 개수 (이론상) 설명
255.0.0.0 /8 약 1,670만 개 클래스 A (대규모 네트워크)
255.255.0.0 /16 65,534개 클래스 B
255.255.255.0 /24 254개 클래스 C
255.255.255.192 /26 62개 서브넷 분할 예시
  • 호스트 개수 = $2^{호스트비트} - 2$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제외)


동작 원리 (AND 연산)

  • ex) 192.168.1.10 AND 255.255.255.0
IP:       11000000.10101000.00000001.00001010 (192.168.1.10)
Mask: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255.255.255.0)
----------------------------------------------------------
Network:  11000000.10101000.00000001.00000000 (192.168.1.0)

→ 결과: 192.168.1.0 → 이게 이 호스트가 속한 네트워크


(5) IP 주소의 분류

a) 공인 vs. 사설 IP

  • 공인 IP 주소: 인터넷 사용할 때 사용하는 고유한 주소
  • 사설 IP 주소: 사설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하는 고유하지 않은 주소


사설 IP 주소 대역

  • 10.0.0.0/8
  • 172.16.0.0/12
  • 192.168.0.0/16


b)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사설 IP 주소 ↔ 공인 IP 주소 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기술
  • 효과
    •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여러 사설 IP 주소가 공유 가능
    • IP 주소 부족 문제 해결

figure2


정적 IP 주소와 동적 IP 주소

  • 정적 IP 주소: 정적 할당된 IP 주소 (고정)
  • 동적 IP 주소: 동적 할당된 IP 주소 (유동적)


c)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동적 IP 주소를 할당하기 위한 프로토콜
  • DHCP 서버에 의해 동적으로 IP 주소 할당 (== IP 주소 임대)
  • 정해진 임대 시간이 끝날 경우 임대 갱신 (자동 수행, 수동 수행)


d) DHCP 동작 핵심 요약

네트워크에 접속한 장치가 자동으로 IP 주소 등 네트워크 설정을 받는 절차

  1. Discover

    → 클라이언트가 브로드캐스트로 “IP 주소 줄 사람 있어요?” 요청

  2. Offer

    → DHCP 서버가 “이 IP 주소 써보세요”라고 제안

  3. Request

    → 클라이언트가 “그 IP 쓸게요”라고 수락 요청

  4. Acknowledge

    → 서버가 “사용 승인 완료”라고 응답 → 설정 완료


(6) 라우팅

Categories:

Updated: